문콘기업비즈9주차

문콘기업비즈9주차

University

5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강원도입니다.

강원도입니다.

University

10 Qs

SK-Ⅱ

SK-Ⅱ

University

6 Qs

Baduk Quiz

Baduk Quiz

University

3 Qs

문콘입문7주차 수업퀴즈

문콘입문7주차 수업퀴즈

University

10 Qs

문콘입문 11/25

문콘입문 11/25

University

7 Qs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University

10 Qs

문콘기업비즈9주차

문콘기업비즈9주차

Assessment

Quiz

Arts

University

Hard

Created by

전창의 (전창의)

Used 1+ times

FREE Resource

5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20 pts

문화콘텐츠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콘텐츠란 부호, 문자, 도형, 색채, 음성, 음향, 이미지 및 영상(또는 이들의 복합체) 자료 또는 정보를 말한다.

미국에서는 Creative Industry로 지칭한다.

초기 제작비(고정비)가 크고 이후 변동비(복제비용)는 적어서 손익분기점 이후 매출이 증가할수록 이익이 크게 증가한다.

고위험, 고수익 산업으로 리스크 관리를 위해 다수의 포트폴리오 확보가 필요하다.

소비하기 전에는 상품에 대해 알 수 없는 경험재의 속성을 갖는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20 pts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지난 십여년간 시가총액 Top 10 기업 중 플랫폼 기업의 숫자는 늘어나는 추세다.

플랫폼의 사전적인 의미는 열차가 드나드는 탑승 장소를 의미한다.

다면 플랫폼은 네이버, 페이스북처럼 공급자에게는 광고를 제공하고 수요자에게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플랫폼의 직접 네트워크 효과는 공급자가 증가하면서 수요자의 매력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플랫폼은 경쟁을 이겨낸 소수의 기업들이 대부분의 수익을 가져가는 승자독식 수익 구조를 갖고 있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20 pts

국내 영화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국내 극장 시장은 엔데믹이 선언된 2023년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거의 회복됐다.

글로벌 영화 시장은 극장 시장의 회복에 힘입어 2021년에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국내 영화 산업이 수직계열화된 이유는 극장 상영 시장의 불안정성을 영화 제작 및 배급 사업의 안정성으로 보완하기 위해서다.

국내 영화 시장은 부가 판권 시장이 발달되어 있어 극장시장과 부가 판권 시장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한다.

영화 제작 단계는 기획 및 시나리오-제작 준비-촬영-후반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20 pts

OTT 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OTT는 하나의 서버로 전 세계 유통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우리가 보는 넷플릭스 영상은 미국 서버에서 온다.

OTT는 Over-to-Top의 약자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말한다.

구독형 OTT 서비스는 한 번 콘텐츠를 다수 구매해 놓으면 매년 콘텐츠 라이브러리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

OTT는 유통 인프라를 내재화하지 않고 공공 인터넷망을 활용해 저렴한 요금 책정이 가능하다.

최근 OTT 구독 요금이 많이 상승해 미국에서는 유료 방송 요금과 비슷해졌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20 pts

방송 산업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방송산업의 가치 사슬은 방송 콘텐츠 제작과 유통, 광고, 전송으로 이루어진다.

방송산업의 주요 주체는 제작사, 방송사, 광고주, 시청자 등이 있다.

독립제작사가 만든 방송영상콘텐츠 중에서 가장 매출액이 높은 것은 드라마이며, 제작 건수가 가장 많은 것은 오락/예능이다.

연예기획사, 음반기획사, 프로덕션, 영화제작사 등이 방송 외주 제작을 맡는다.

최근 OTT의 확산으로 국내 독립제작사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