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트 5주차 퀴즈

문트 5주차 퀴즈

University

6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문콘기업비즈9주차

문콘기업비즈9주차

University

5 Qs

강원도입니다.

강원도입니다.

University

10 Qs

종합한국어 3권 14과

종합한국어 3권 14과

University

10 Qs

SK-Ⅱ

SK-Ⅱ

University

6 Qs

arsenal

arsenal

University

3 Qs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University

10 Qs

문콘입문7주차 수업퀴즈

문콘입문7주차 수업퀴즈

University

10 Qs

문트 5주차 퀴즈

문트 5주차 퀴즈

Assessment

Quiz

Arts

University

Medium

Created by

전창의 (전창의)

Used 4+ times

FREE Resource

6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문화 할인(cultural discount)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어떤 문화권의 콘텐츠가 다른 문화권에서 받아들여질 때 재미나 상품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문화 할인을 유발하는 이유는 언어, 문화/관습적 차이다.

일반적으로 게임, 코미디, 예능은 문화할인율이 낮다.

영화, 드라마의 문화할인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문화 할인은 문화권 간의 지역적인 거리에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반한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지 거의 모든 국가에서 반한류가 존재한다.

일본은 반한류가 가장 심한 국가 중 하나로, 혐한이라는 개념이 있을 정도다.

반한류에 대한 원인으로 K-콘텐츠의 지나친 상업성과 선정성 한류 스타의 부적절한 언행과 행동이 지적된다.

문화 강국인 미국과 유럽에서는 K-콘텐츠에 대한 자국 콘텐츠 산업 보호 필요성은 느끼지 않는 편이다.

중국이나 동남아와 같은 국가에서는 한류에 밀려 자국 콘텐츠 경쟁력이 상실될 것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이세돌에 승리한 알파고는 딥러닝 방식의 AI로 개발되었다.

딥러닝 기술은 규칙 기반의 인공지능으로 연역적인 판단을 내리는 방식이다.

딥러닝 기술은 인간의 신경망 구조를 모방해 만들어졌다.

딥러닝 기술이 구현되려면 빅데이터, 고성능의 GPU, 클라우드 기술 등이 필요하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명령어(prompt)를 입력하면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텍스트, 그림, 영상, 음악 등의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생성형 AI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시 창작은 생성형 AI가 취약한 분야로 인간이 AI가 만든 시를 구별하기 쉬운 편이다.

AI를 이용한 음악 콘텐츠 사례는 Text-to-Music과 AI 커버 등이 있다.

생성형 AI를 이용해 창작된 그림이 미술대회에서 수상할 정도로 발달했다.

미국 저작권청은 AI가 생성한 이미지 자체에 대해서는 저작권을 인정하지 않는 결정을 내렸다.

최근 오픈AI에서는 거의 실제에 가까운 고화질 영상을 만들어내는 Sora를 공개했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뉴미디어의 발전 과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잘못된 것은?

과거의 올드미디어는 Legacy 미디어라고도 부른다.

올드미디어는 아날로그, 뉴미디어는 디지털에 기반한다.

올드 미디어에 속하는 매체는 신문, 잡지, TV 등이다.

유튜브, 숏폼, OTT는 뉴미디어에 속한다.

뉴미디어의 특징은 수동성과 제한적인 상호작용성에 있다.

6.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OTT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OTT는 Over-the-Top의 약자로, 셋톱박스를 거쳐야만 하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말한다.

유튜브도 넓은 범위에서는 OTT에 속한다.

OTT는 자체적으로 구축한 인터넷 통신망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저렴한 요금제 책정이 가능하다.

넷플릭스는 콘텐츠 확보에서 비용을 절감해 높은 수익을 거둔다.

국내 OTT 선택 이유 중 저렴한 가격이 독점 콘텐츠 확보보다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