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트 기말 퀴즈

문트 기말 퀴즈

University

6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arsenal

arsenal

University

3 Qs

문콘기업비즈 기말퀴즈

문콘기업비즈 기말퀴즈

University

5 Qs

문콘입문 9/30

문콘입문 9/30

University

6 Qs

문트 기말 퀴즈

문트 기말 퀴즈

Assessment

Quiz

Arts

University

Hard

Created by

전창의 (전창의)

Used 3+ times

FREE Resource

6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K-게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국내 게임이 상대적으로 강한 분야는 PC 게임과 콘솔 게임이다.

게임이 국내 전체 콘텐츠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50% 정도이다.

국내 게임 시장의 분야별 비중은 PC 게임, 모바일 게임, 콘솔 게임 순으로 크다.

해외에서 인기 있는 한국 게임에는 리니지, 메이플스토리가 상위권에 올라 있다.

국내 게임의 문제점은 게임 장르의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것과 지나친 현질 유도 등이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웹툰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웹툰 서비스는 네이버가 처음으로 시작했다.

웹툰을 원작으로 영화, 드라마를 제작할 때 작품의 유명세를 마케팅에 이용하고 웹툰 작가를 기획에 활용하기도 한다.

웹툰 에이전시는 예비작가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운영해 작가 Pool을 확보한다.

네이버웹툰은 미국 시장에서는 국내의 도전만화와 같은 아마추어 창작 시스템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웹툰 원작을 웹소설로 옮긴 작품을 노블코믹스라 부른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MBTI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MBTI는 캐서린 브릭스, 이사벨 마이어스 모녀가 융의 심리유형론을 기반으로 만든 성격유형 검사이다.

MBTI에서 S는 직관형, N은 사고형을 의미하며 T는 사실형, F는 감정형을 의미한다.

사람의 성격 유형은 정규분포를 그리기 때문에 MBTI처럼 군집화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MBTI에 따르면 성격에는 우열이 없으나 성숙과 미성숙은 있다.

MBTI는 결과를 속이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과 반복 측정에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점 등의 문제점이 있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양극화와 콘텐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기생충, 오징어게임 등 성공한 K-콘텐츠 상당수가 헬조선을 소재로 삼아 한국의 부조리를 묘사하고 있다.

할리우드는 히어로물 중심의 현실 도피적 성향을 보여줘 매너리즘에 빠져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K-콘텐츠는 헬조선의 현실을 반영한 주제의식과 독창성을 통해 세계를 매료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생충은 헬조선의 현실을 잘 드러냈지만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선진국에서는 공감을 자아내지 못했다.

국내 경제적 양극화의 원인으로 부실한 복지 제도, 높은 비정규직 비중, 소득 분배 악화, 자산 불평등 심화가 지적된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세대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한 것은?

베이비붐 세대는 60~70년대 태어난 세대를 말한다.

Z세대는 M세대와 비교해 부모와 친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성이 낮게 나타난다.

Z세대는 싫은 것을 싫다고 말하는 당당함으로 인해 1년도 되지 않아 직장을 떠나는 일이 다반사이다.

MZ세대는 세대 코호트를 잘 반영하는 집단으로 집단 내에서의 동질성이 강하게 나타난다.

밀레니얼 세대는 부모세대보다 높은 임금을 받으며 자산형성의 기회를 더 많이 부여받았다.

6.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플랫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타당하지 않은 것은?

플랫폼 용어는 본래 기차를 타기 위해 사람들이 모이던 탑승 플랫폼에서 유래했다.

플랫폼은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연결되어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과 산업 생태계를 의미한다.

플랫폼의 네트워크 효과 때문에 눈덩이처럼 사용자가 증가하고 사용자 록인(Lock-in)이 일어난다.

플랫폼의 직접 네트워크 효과는 공급자가 증가하면 수요자 측면의 매력도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플랫폼은 초기 유저 확보를 위해 무료나 저렴하게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