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콘입문 11/25

문콘입문 11/25

University

7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서울대한국어 4A 8과

서울대한국어 4A 8과

University

10 Qs

활천 신환회 퀴즈!

활천 신환회 퀴즈!

University

10 Qs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문콘입문 산업정책 대중문화

University

10 Qs

문콘기업비즈9주차

문콘기업비즈9주차

University

5 Qs

서울대한국 4A - 1과: 어휘 문법

서울대한국 4A - 1과: 어휘 문법

University

10 Qs

문콘입문 11/25

문콘입문 11/25

Assessment

Quiz

Arts

University

Medium

Created by

전창의 (전창의)

Used 1+ times

FREE Resource

7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다음 중 주요 국가의 문화 정책으로 맞지 않는 것은?

미국은 정책 지원보다는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저작권 보호에 주력한다.

일본은 프랑스 사례를 벤치마킹한 쿨재팬 정책을 통해 큰 성공을 거두었다.

프랑스는 영화와 문화 진흥 등 문화 정책에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편이다.

영국은 프랑스의 정부주도형 문화정책과 미국의 민간주도형 문화정책 사이의 중간노선을 취하고 있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저작권법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당초 미국 저작권법은 저작권을 56년간 인정하다가 이를 75년, 95년으로 연장했다.

개발도상국이나 후진국들은 자국 콘텐츠 보호를 위해 저작권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편이다.

베른조약을 통해 사후 70년을 보장하는 것이 국제적 추세이다.

공공 저작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독점 이익을 반대하는 학자들은 저작권 연장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OSMU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원소스멀티유즈의 약자이다.

성공할 경우 쌍방향 효과를 통한 선순환이 가능하다.

소비자층의 확대를 통해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이유로 등장했다.

원작의 스토리와 캐릭터를 그대로 살려 다른 미디어에서 재현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요인이다.

4.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한류의 발전 단계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한류는 1990년대 후반부터 태동하기 시작했으며, 초창기 한류는 주로 아시아에서 인기를 얻었다.

1990년대, 2000년대 한류의 인기를 견인한 것은 드라마로 사랑이 뭐길래, 대장금, 겨울연가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원더걸스, 소녀시대, 빅뱅, 엑소 등이 미국과 유럽 팝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며 본격적인 전세계적 K-팝 시대가 열렸다.

최근 한류 드라마의 확산은 넷플릭스 플랫폼의 전세계적인 유통망에 힘입은 바 크다.

5.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한류의 부정적인 인식에 대한 이유로 맞지 않는 것은?

중국, 동남아 등에서는 한류의 부정적인 인식 원인 중에 하나로 자국 콘텐츠 산업의 보호 필요성을 꼽는다.

미국과 유럽은 자국의 문화나 콘텐츠 역량이 우월하기 때문에 한류의 부정 인식 이유로 자국 콘텐츠 산업 보호의 필요성을 꼽지 않는다.

지나친 상업주의와 선정성 때문에 한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

한류 스타나 인플루언서의 부적절한 언행이나 비윤리적인 행동도 부정적 인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6.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다음 중 문화기술(CT)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문화콘텐츠의 기획, 상품화, 유통, 전달 등의 가치 사슬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문화 상품 전반의 창작, 기획, 제작, 표현, 유통 등에 활용되는 기술이다.

이공학적인 기술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인문사회, 디자인 분야의 지식과 노하우는 포함되지 않는다.

CG, 영화/음악 스트리밍 기술, AR/VR 기술, 음악/영화 등의 콘텐츠 추천 기술 등이 사례에 해당된다.

7.

MULTIPLE CHOICE QUESTION

45 sec • 10 pts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간의 신경망을 모방한 인공지능 기술인 딥러닝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텍스트와 이미지, 영상 등 기존의 콘텐츠를 학습한 후 이와 유사한 콘텐츠를 새롭게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AI 커버 음원, text-to video(명령어를 입력해 영상 생성), 사람 같은 행동을 보이는 게임 NPC 개발 등이 사례이다.

매우 정교하고 세밀한 명령이 가능하기 때문에 원하는 결과물을 시행착오 없이 바로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