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레해부학(코어 & 호흡)

발레해부학(코어 & 호흡)

University

5 Qs

quiz-placeholder

Similar activities

연조직 Quiz

연조직 Quiz

University

6 Qs

급식 시설관리

급식 시설관리

University

6 Qs

메타패러다임 환경

메타패러다임 환경

University

4 Qs

두개골에 관한 퀴즈

두개골에 관한 퀴즈

University

8 Qs

폐렴 치료 반응 평가 퀴즈

폐렴 치료 반응 평가 퀴즈

University

5 Qs

발레해부학(코어 & 호흡)

발레해부학(코어 & 호흡)

Assessment

Quiz

Biology

University

Hard

Created by

cy K

Used 5+ times

FREE Resource

5 questions

Show all answers

1.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다음은 후굴과 관련된 선지이다.

다음 중 틀린 설명을 고르시오.

후굴을 할 때 요추 쪽을 과하게 꺾으며 그 동작을 반복하여 피로가 누적될 경우, 척추분리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척추분리증이란 척추 후궁에 금이 간 상태를 말하며 척추뼈 사이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집니다.

척추 분리증이 진행되면 척추가 바로 아래 척추에 대해 앞으로 이동하는 척추 전방 전위증까지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동범위는 무조건 많이 나올수록 좋기 때문에 경추(=목) 쪽도 많이 꺾으면 좋다.

경추의 손상은 스포츠 상황에서 응급상황으로 받아들어지며, 특히 경추에 골절이 발생한 경우 신경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움직임을 너무 과도하게 내면 안된다.

Answer explanation

후굴 동작을 할 때 허리를 과하게 꺾고, 그 때문에 요추에 피로가 누적되어 실제로 요추 5번과 천골 사이의 척추분리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만 논문에 따르면 이런 증상은 성인여자보다는 어린이들에게서 더 많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때문에 후굴을 할 때 요추를 과하게 꺾기보다는 일단 흉추 쪽의 등 근육(능형근, 중&하부승모근, 광배근) 을 먼저 트레이닝시키고, 그 뒤에 후굴동작을 완성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2.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Media Image

다음은 횡격막, 골반저근, 복횡근, 척추뼈, 다열근을 나타내고 있는 사진이다.

다음 선지 중 틀린 선지는?

다열근은 요통이 있는 발레리나들이 근비대가 안되어 있는 근육이라고 연구 결과가 나와있다.

1번 선지를 생각해보면, 요통이 있는 사람들은 다열근 같은 심부 근육이 아닌, 기립근 같은 표층근육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복횡근은 복직근보다 표층에 있는 근육으로 코어를 잡을 때 복대처럼 “벽” 역할을 한다.

숨을 크게 들이마시면 횡격막이 내려가면서 횡격막부터 골반저근까지의 면적이 줄어든다. (=I.A.P가 높아진다.)

골반저근을 수축하기 위해서는 대변을 참는 느낌을 이용하면 된다.

Answer explanation

복횡근은 복직근보다 심부에 있는 근육입니다.

흔히 말하는 "식스팩"과 관련된 근육이 복직근입니다.

--> 심부에 있는 다열근보다 표층에 있는 기립근을 많이 사용하는 논리와 마찬가지로,

--> 심부에 있는 복횡근보다는 표층에 있는 "복직근" 등 만을 운동하며 코어운동을 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배운 호흡을 토대로 심부의 근육들까지 제대로 운동해주시면 더 밸런스 잡힌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3.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Media Image

다음은 호흡을 할 때 일어나는 몸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틀린 설명은?

숨을 들이마시는 경우, 횡격막(diaphragm)이 내려가고, 갈비뼈가 들어올려진다.

1번 선지 같은 이유 때문에, 숨을 들이마실 때 갈비뼈의 움직임을 유심히 보는 것이 좋다.

호흡과 관련된 근육에는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사각근(scalene), 소흉근(pectoralis minor)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은 갈비뼈에 붙지는 않는다. 경직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풀어주면 좋다.

숨을 깊게 들이마시면, 마지막 단계에서는 약간의 척추 신전이 발생한다.

4번 선지의 원리를

원리를 이용하여

운동을 시작할 때 숨을 깊게 들이마셨을 때 자연스럽게 가슴을 편 상태에서 운동을 해주면, 견갑골과 위팔뼈(humerus)사이의 공간 부족으로 인한 부상을 예방할 확률이 커진다.

Answer explanation

흉쇄유돌근, 소흉근, 사각근 모두 갈비뼈에 붙는 근육들입니다.

***이 문제를 통해 알아본 오늘 운동할 때 핵심?!

--> 항상 호흡을 가득 들이마신 상태에서 흉추쪽에서 약간의 신전이 일어나도록 한 뒤에 운동을 한다!!

--> 어깨가 말린 상태에서 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에 부상예방에 도움이 됨.

4.

MULTIPLE CHOICE QUESTION

30 sec • 1 pt

Media Image

전문가반 회원님께서 장요근이 뻣뻣해서 후굴이 안된다고 고민 상담을 하셔서, 관련 운동루틴을 준비해가야하는 상황이다. 심부전방선과 관련된 다음 사항들을 참고하여 수업 준비를 하려고 하는데, 틀린 선지는?

  • 장요근과 횡격막은 근막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단 회원님이 깊게 호흡을 할 수 있도록 알려드려야겠다.

  • 숨을 들이마실 때 횡격막은 내려가는데, 그때 갈비뼈가 들어올려지는 것이 보이는지 확인해봐야겠다.

  • 장요근은 짧아져서 문제이지! 이러나저러나 스트레칭이 최고야.

  • 장요근은 몸통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근육이기 때문에 허리통증이 있는 회원님들은 장요근 스트레칭 뿐만 아니라 강화운동도 중요해.

장요근은 대퇴사두근의 대퇴직근과 함께 강한 고관절 굴곡근이며, 90도 이상 고관절 굴곡을 한 상태에서 트레이닝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Answer explanation

모든 근육들에 대해서, 스트레칭 뿐만 아니라 강화운동을 해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근육이 부상을 당하는 기전을 알면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러시안 스플릿이나 이글 같은 동작을 할 때 “근육이나 힘줄이 운동동작으로 인해 늘어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 다치게 됩니다. 근육의 길이가 빠르게 늘어나더라도, 그 속도에 대응할 수 있게끔 평상시에 신장성으로 운동을 해주면 효과적으로 부상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5.

MULTIPLE SELECT QUESTION

45 sec • 1 pt

Media Image

다음은 복부의 근육들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 중 맞는 설명은? (정답은 2개 이상)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 중 복횡근이 가장 심부에 있다.

흔히 알려진 복근 운동은 심부의 근육보다는 표층의 근육을 트레이닝하는 경우가 많다.

심부에 있는 근육이 활성화되어야 운동할 때 몸의 중심부를 단단하게 잡는데 도움이 된다.

발레 동작을 할 때 골반의 중립을 유지하기가 어려운데, 이를 위해 대둔근과 복부의 근육들의 협응력이 중요하다.

Answer explanation

Media Image

발레 동작을 할 때 턴아웃이 중요한데, 그 중에서도 엉덩이의 대둔근을 비롯한 외회전 근육(이상근, 상쌍자근, 하쌍자근..)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중에서도 대둔근의 면적이 가장 크고, 대둔근은 외회전 뿐만 아니라 고관절 신전의 역할도 하기에 지나치게 과활성화되면 골반의 전방경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때 복직근 같은 복부의 근육을 통해 골반의 중립을 유지해줍니다.